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인하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서영덕 조교수님의 상세 정보입니다. 서영덕 교수님은 추천시스템, IoT 데이터 분석, 데이터 마이닝 분야의 저명한 전문가이십니다. 고려대학교에서 학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셨으며, 세종대학교를 거쳐 현재 인하대학교에서 재직 중이십니다. 교수님의 연구실인 지식기반데이터분석연구실에서는 최신 AI 및 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추천 시스템 개발, 방대한 IoT 데이터의 효율적인 분석, 그리고 복잡한 데이터 속에서 유의미한 패턴을 찾아내는 데이터 마이닝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학술논문 및 특허 출원을 통해 관련 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계시며, 여러 학술 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하며 그 연구 역량을 인정받으셨습니다. 서영덕 교수님의 전문성을 통해 데이터 기반 혁신을 이루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서영덕 |
| 직책 | 조교수 |
| 이메일 | mysid88@inha.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컴퓨터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28608425 |
| 연구실 | 지식기반데이터분석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kdd-lab/professor |
| 홈페이지 | https://scholar.google.co.kr/citations?user=Y0XW7dIAAAAJ&hl=ko |
| 소속 | 인하대학교 |
| 회사명 | 인하대학교 |
| 재직기간 | 2020.09.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컴퓨터공학과 조교수 |
| 회사명 | 세종대학교 |
| 재직기간 | 2019.03.01 ~ 2020.08.31 |
| 담당업무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조교수 (비정년트랙) |
| 회사명 | 세종대학교 |
| 재직기간 | 2018.09.01 ~ 2019.02.28 |
| 담당업무 | 박사후연구원 |
| 회사명 | 고려대학교 |
| 재직기간 | 2018.03.01 ~ 2018.08.31 |
| 담당업무 | 연구교수 |
| 회사명 | 성신여자대학교 |
| 재직기간 | 2018.03.01 ~ 2018.08.31 |
| 담당업무 | 시간강사 |
| 연구 1 | 개인화 추천 시스템 및 지식 그래프 기반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개인화 추천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소셜 빅데이터 기반의 친구 관계 강도를 활용한 개인화 추천 시스템(학위논문) 연구를 시작으로, 최근에는 대규모 언어 모델과 결합된 토픽 인식 지식 그래프를 활용하여 추천 시스템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Topic-Aware Knowledge Graph with Large Language Models for Interoperability in Recommender Systems, 2025"). 이는 복잡한 데이터를 통합하고 사용자 의도를 더욱 정교하게 파악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사용자의 선호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지속 학습(Continual Learning) 방법론과 명시적/암묵적 피드백을 통합하여 추천의 정확도와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기법들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가소성과 안정성의 균형을 위한 추천 시스템의 개인화 지속 학습 방법 및 시스템'(2025년 특허) 및 '행렬 형태의 사용자 잠재 취향 추출을 통한 지속 학습 추천 방법 및 시스템'(2025년 특허)과 같은 혁신적인 특허로 이어졌습니다. 이종 데이터 간 관계 모델링을 통해 개인화 추천 시스템의 지식 그래프를 확장하는 기법(2023년 특허)도 개발하여 복잡한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이커머스, 콘텐츠 스트리밍,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수 있으며, 실제 서비스 환경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추천 엔진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최신 AI 기술을 활용하여 추천의 투명성과 설명력을 높이는 연구를 병행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AI 기반 추천 서비스를 구축하는 데 기여합니다. |
| 연구 2 | IoT 데이터 분석 및 저가 센서 보정 기술 |
| 내용 | 본 연구는 사물 인터넷(IoT) 환경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센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특히 저가형 센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정교한 보정 기술 개발에 집중합니다. 실시간 미세먼지 측정 개선을 위한 저가형 센서 보정 모델(2023년 논문 및 2025, 2023년 특허)과 같이, 실내외 환경 데이터를 정밀하게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SenDaL: An Effective and Efficient Calibration Framework of Low-Cost Sensors for Daily Life"(2024년 논문)는 일상생활에서 저가 센서를 효과적으로 보정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합니다. 또한, 벌집 강도 증진을 위한 IoT 및 AI 시스템 연구("IoT and AI Systems for Enhancing Bee Colony Strength in Precision Beekeeping: A Surve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2025"), 스마트 빌딩 내 점유 모니터링을 위한 WiSOM 시스템("WiSOM: WiFi-enabled self-adaptive system for monitoring the occupancy in smart buildings, 2024")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IoT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근로자의 안전을 강화하는 스마트 AIoT 안전모 기반 사고 통계 모니터링 시스템'(2024년 특허)과 같이, AIoT 기술을 산업 현장 안전 관리에도 적용하여 실질적인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IoT 기기에서 수집되는 시계열 데이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줄이며 의사결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 연구 3 | 텍스트 및 바이오메디컬 데이터 마이닝 |
| 내용 | 본 연구실은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와 복잡한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 개발을 선도합니다. 한국어 텍스트 분석에 특화된 기술 개발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UKTA: Unified Korean Text Analyzer'(2025년 논문)와 '형태소 분석을 통한 한국어 문장 결속성 및 응집성 분석 방법 및 시스템'(2023년 특허) 등을 통해 한국어의 형태소와 문장 구조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 독자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Morpheme-based Korean text cohesion analyzer'(2024년 논문) 및 '사용자 사전과 형태소 토큰을 사용한 트랜스포머 기반 형태소 분석기'(2023년 논문)는 이러한 역량을 잘 보여줍니다.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는 딥러닝 기반 근육 세포 융합 지수 계산 소프트웨어("SEPO-FI: Deep-learning basedsoftwaretocalculate fusion index ofmuscle cells, 2025")와 같이,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질병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또한, 전자 건강 데이터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A Comprehensive Survey on Security and Privacy for Electronic Health Data, 2021")를 통해 민감한 의료 정보의 안전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 마이닝 연구는 정보 검색, 자연어 처리,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 활동 내용 | [수상 경력] - KCC2024 학부생/주니어 논문경진대회 학부생부문 우수상, 한국정보과학회 (2024.07.19) - 2022년 한국정보기술학회 대학생논문경진대회 우수논문상,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06.03) - 2021년 한국정보기술학회 우수논문상,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06.04) - 2020년 한국정보기술학회 우수논문, 한국정보기술학회 (2020.10.23) |
| 학력 사항 | 고려대학교 컴퓨터학 박사 (2018) 고려대학교 컴퓨터·통신공학부 학사 (2012) |
보유 기술 로딩 중...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